728x90 분류 전체보기104 [Spring] DI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DI)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 간의 의존 관계를 느슨하게 만들기 위한 방법입니다. 즉, 객체가 다른 객체를 사용할 때 직접 객체를 생성하거나 참조하지 않고, 외부에서 필요한 객체를 주입받아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유연성과 확장성이 향상되며, 유닛 테스트를 수행하기 용이해지는 등의 이점이 있습니다. Spring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표적인 의존성 주입 방법을 제공합니다. 생성자 주입(Constructor Injection) - 객체를 생성할 때 생성자를 이용해 필요한 의존 객체를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세터 주입(Setter Injection) - 객체 생성 후 Setter 메소드를 이용해 의존 객체를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필드 주.. 2023. 2. 24. [Spring] IoC IoC(Inversion of Control)란 제어의 역전을 의미하며, 객체의 생성, 생명주기 관리 등을 개발자가 아닌 프레임워크 레벨에서 처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인 자바 어플리케이션에서는 객체를 생성하고 사용하기 위해 개발자가 직접 new 연산자를 사용하여 객체를 생성합니다. 이 경우, 해당 객체는 개발자가 직접 관리하며, 다른 객체에 대한 의존성도 개발자가 직접 관리해야 합니다. 그러나 Spring과 같은 IoC 컨테이너에서는 객체 생성 및 생명주기 관리를 IoC 컨테이너가 대신 처리합니다. IoC 컨테이너는 미리 객체를 생성하고, 객체 간의 의존성을 주입하여 개발자가 생성과 의존성 관리를 할 필요 없이 객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IoC 컨테이너는 주로 XML 파일, Java 어노테이.. 2023. 2. 24. [Spring] AOP는 프록시 객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이유는? 프록시 객체란? 프록시 객체는 원본 객체를 대신해서 호출될 객체로, 원본 객체를 감싸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중간 단계에 위치합니다. 프록시 객체는 원본 객체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있어서, 클라이언트는 프록시 객체를 호출하는 것으로 인해 원본 객체의 메소드를 호출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프록시 객체를 사용하는 이유는, 프록시 객체를 통해 원본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거나,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입니다. 예를 들어, 보안을 위해 원본 객체의 메소드에 접근할 때 권한 검사를 수행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캐싱을 사용하는 등의 기능을 프록시 객체에서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원본 객체의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도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기능을 추.. 2023. 2. 24. [Spring] AOP란?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부가 기능(로깅, 보안, 트랜잭션 관리 등)을 모듈화하는 프로그래밍 기법입니다. AOP는 프로그램의 모듈성, 유지 보수성, 재사용성 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기존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공통적인 기능을 모든 객체에서 반복적으로 구현해야 했으나, AOP는 이러한 반복적인 작업을 해결하기 위해 공통 기능을 모듈화하여, 각각의 객체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개발됩니다. AOP는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용어를 사용합니다. Aspect : 공통적으로 수행되는 부가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로깅, 보안, 트랜잭션 관리 등이 Aspect의 예입니다. Join point : Aspect가 적용될 수 있는 .. 2023. 2. 24. Spring 특징 요약 Spring은 Java 언어로 구현된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경량 컨테이너: 스프링은 객체의 생명주기와 설정, 관리 등을 담당하는 컨테이너입니다. 이 컨테이너는 EJB와 같은 무겁고 복잡한 컨테이너와는 달리, 가볍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Inversion of Control(IoC): 객체 간의 의존성을 낮추기 위해, 객체가 직접 자신이 필요로 하는 의존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 외부에서 생성하여 주입하는 방식을 IoC라고 합니다.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DI): 객체가 직접 의존하는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 외부에서 의존 객체를 주입하는 방식을 의존성 주입이라고 합니다. 스프링은 이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 2023. 2. 24. HTTP란?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의 약자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토콜입니다. HTTP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사용하며,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반환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HTTP는 기본적으로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컴퓨터들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HTTP는 보통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사용되며, 클라이언트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HTTP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요청을 처리한 후 응답을 반환합니다. HTTP는 stateless(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프로토콜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상호작용이 한번 끝나면 연결이 끊어지고, 다음.. 2023. 2. 23. 이전 1 2 3 4 5 6 7 8 ··· 1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