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기타42

TCO(Total Cost of Ownership) 개요 TCO(Total Cost of Ownership)란, 특정 제품, 서비스, 시스템 또는 기술을 보유하거나 사용하기 위해 지출되는 총 비용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이는 소유 비용, 운영 비용, 유지 보수 비용 등 모든 비용을 고려하여 산출됩니다. TCO는 투자의 총 비용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제품이나 시스템의 초기 구매 비용만 고려할 경우에는 보이지 않는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용은 실제로 제품 또는 시스템을 보유하거나 사용하는 동안 발생합니다. 따라서 TCO는 제품 또는 시스템의 전체 수명주기 동안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고려하여, 초기 비용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비용을 예측하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고려 할 요소 소유 비용: 제품 또는 시스템의 초기 비용, 라이센스, 배.. 2023. 3. 8.
리프트 앤 시프트(Lift and Shift) 리프트 앤 시프트(Lift and Shift) 전략은 기존의 온프레미스(on-premises) 인프라스트럭처나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비스로 이전하는 전략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전략은 쉽고 빠르게 클라우드 환경으로 이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중 하나로 간주됩니다. 이 전략은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Lift"는 기존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Shift"는 이전된 시스템을 클라우드 내에서 실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기존의 시스템을 클라우드에 복사하여 클라우드에서 실행하게끔 이전하는 것입니다. 이전 과정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을 클라우드에 복제하여 클라우드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이 방법은 기존의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재설계할 필요가 없고, 수많은 .. 2023. 3. 8.
코틀린(Kotlin)이란? 코틀린(Kotlin)은 2011년 JetBrains사에서 개발한 JVM(Java Virtual Machine) 및 Android용 언어로, 자바와의 상호 운용성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바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자바와 유사한 구문을 사용할 수 있어 기존 자바 개발자들도 쉽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코틀린은 객체지향 및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모두 지원하며, 람다 표현식과 확장 함수 등의 특징을 제공합니다. 또한 null 안정성을 보장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NullPointerException과 같은 예외 상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코틀린은 간결한 문법을 가지고 있어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코드의 양을 줄일 수 있습니다. 코틀린은 Android 애플리케이션 개발에도 많.. 2023. 2. 26.
Generative AI란? Generative AI는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자동으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인간이 작성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예측, 예술,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Generative AI는 주로 딥러닝 모델과 생성 모델링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됩니다. 딥러닝 모델은 큰 데이터셋에서 패턴을 찾아내고, 생성 모델링 기술은 이러한 패턴을 이용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Generative AI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예술 분야에서는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새로운 작품을 생성하고, 디자인 분야에서는 자동으로 로고, 웹페이지 레이아웃, 그래픽 디자인 등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2023. 2. 25.
ChatGPT ChatGPT는 OpenAI에서 개발한 대규모 자연어 처리 언어 모델 중 하나입니다. GPT는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약자이며, Transformer 아키텍처와 비지도 사전학습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 모델링 작업을 수행합니다. ChatGPT는 2018년에 발표된 GPT-1, 2019년에 발표된 GPT-2, 그리고 2020년에 발표된 GPT-3 세 가지 버전이 있습니다. 이들 모두 엄청난 양의 텍스트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사전 학습(pretraining)을 수행하고, 이후 다양한 자연어 처리 작업에 사용될 수 있는 능력을 갖춥니다. ChatGPT는 문장 생성, 기계 번역, 요약, 질문 응답 등 다양한 자연어 처리 작업에서 높은 성능을 보입니다. 이는 GPT가 사전 학.. 2023. 2. 25.
HTTP란?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의 약자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토콜입니다. HTTP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사용하며,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반환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HTTP는 기본적으로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컴퓨터들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HTTP는 보통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사용되며, 클라이언트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HTTP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요청을 처리한 후 응답을 반환합니다. HTTP는 stateless(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프로토콜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상호작용이 한번 끝나면 연결이 끊어지고, 다음.. 2023. 2. 2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