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로드 밸런서(Load Balancer)는 여러 대의 서버에 들어오는 트래픽을 균등하게 분산하여 처리하는 장치입니다. 로드 밸런서는 주로 L4와 L7 두 가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서버 부하 분산을 수행합니다.
L4 로드 밸런서 | L7 로드 밸런서 | |
기능 | 네트워크 계층의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기반으로 트래픽 분산 |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트래픽 분산 |
프로토콜 | TCP, UDP 등 | HTTP, HTTPS, FTP 등 |
부하 분산 규칙 | IP 주소, 포트 번호 | URI, 쿠키, 세션 등 |
성능 | 높음 | 낮음 |
안정성 | 높음 | 높음 |
SSL 인증서 | 지원 안됨 | 지원 가능 |
리소스 | 적게 필요 | 많이 필요 |
기존에는 L4 로드 밸런서가 대부분의 서비스에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웹 서비스의 증가와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기술 발전으로 L7 로드 밸런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의 부하 분산과 로드 밸런싱 규칙 설정이 가능한 L7 로드 밸런서는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웹 서비스에서는 L7 로드 밸런서를 사용하여 HTTP 요청의 URI 정보나 쿠키 정보 등을 기반으로 부하 분산 규칙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웹 서비스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SSL 인증서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L7 로드 밸런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데이터베이스나 DNS 서버 등의 백엔드 서비스에서는 L4 로드 밸런서를 사용하여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기반으로 트래픽을 분산합니다.
따라서, L4와 L7 로드 밸런서는 서비스의 특성과 요구사항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높은 처리량과 안정성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L4 로드 밸런서를,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의 부하 분산이 필요한 경우에는 L7 로드 밸런서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728x90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란? (0) | 2023.02.23 |
---|---|
Request, Response (0) | 2023.02.23 |
MSA 구조에서 하나의 트랜잭션의 단위는 어떻게 봐야할까? (0) | 2023.02.23 |
TPS (Transaction Per Second) (0) | 2023.02.23 |
데이터베이스의 Replication과 Clustering (0) | 2023.02.23 |